반응형
문제
이번에 다뤄볼 문제는 1929번 문제 '소수 찾기'입니다.
소수 찾기 문제에서 연습해야 할 key-point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입니다.
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쉽게말해 소수를 구했을 경우
해당 수를 소수로 갖는 뒤의 숫자들을 배제시키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아래 해답 코드를 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실 겁니다.
코드(C++)
#include<iostream>
#include<stdio.h>
#pragma warning (disable:4996)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{
int pn = 0;
bool c[1000001] = { false };
int m, n;
scanf("%d %d", &m, &n);
for (int i = 2; i <= n; i++) {
if (c[i]="=" false) (i <="n;" m) }
else printf("%d\n", i);
for (int j +="i)" c[j]="true;
" }
return 0;
}
< />re>
반응형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++] 백준 알고리즘 1924번 (2007년) (0) | 2019.01.20 |
---|---|
[C++] 백준 알고리즘 11653번 (소인수분해) (0) | 2019.01.20 |
[C++] 백준 알고리즘 1978번 (소수 찾기) (0) | 2018.10.26 |
[C++] 백준 알고리즘 11005번 (진법 변환2) (0) | 2018.10.25 |
[C++] 백준 알고리즘 9613번 (GCD합) (0) | 2018.10.24 |